성장일지/독서일지 (5)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부법을 아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공부책 How to Study) '공부책 How to Study'를 읽고, 저자 서문 부분을 저의 언어로 바꿔 써봤습니다.공부가 성공을 담보하지 않는다교육이란 단지 기회일 뿐 그 이상은 아니다. 교육은 성공이나 행복, 만족 부 등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배움의 크기가 커도 실패하고, 부유하지 못할 수 있다. 배움이 짧아도 큰 성공을 하고 부를 이루기도 한다. 또한 교육이 도덕성을 담보하지도 않는다. 세상에는 많이 배우고 학벌 좋은 범죄자들도 많고, 이들이야 말로 무지한 악당들보다 훨씬 큰 해를 우리 공동체에 입히곤 한다. 그러나 자신을 낮추고 타인의 권리를 위해 힘쓰고, 훌륭한 심성을 가진 사람이 교육을 받아 뜻을 펼친다면, 우리 공동체 전체가 크나 큰 혜택을 함께 누리기도 한다. 우리는 이미 역사와 경험을 통해, 이를 겪거나 공부했다... 데일 카네기의 자기관리론 4일차 2절에서 걱정을 분석한는 방법에 대해 살펴봤다면 3절에서는 걱정하는 습관을 버리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총 다양한 사례를 들어 6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바쁘게 움직여라. 그러면 마음에서 걱정을 몰아낼 수 있다. '생각의 병'을 고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많이 활동하는 것이다. 2. 사소한 일에 과민 반응하지 말라. 손톱만 한 가치도 없는 하찮은 일에 신경을 씀으로써 당신의 행복을 망치지 말라. 3. 평균의 법칙을 사용해서 쓸데 없는 걱정을 없애라. 자신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보라. '평균의 법칙으로 보았을 때 내가 걱정하고 있는 일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어느 정도나 되는가? 4. 피할 수 없는 것과 협력하라. 당신이 바꾸거나 개선시킬 수 없는 상황이라는 판단이 들면 .. 데일 카네기의 자기관리론 3일차. 앞서 캐리어의 비법을 살펴보았다. 이 비법만으로 충분할까? 물론 아니라고 카네기는 말한다. 걱정을 몰아내기 위해서는 먼저 걱정을 분석해야한다. 컬럼비아 단과대학과 종합대학의 학장을 지낸 고(故) 하버트 E. 호크스는 다음과 같이 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걱정의 가장 큰 원인은 혼란이다. 이 세상 걱정의 전반은 결정의 기반이 되는 근거를 충분히 알지 못한 채 결정을 내리려하기 때문이다. 문제에 관련된 사실들을 확인하는데 집중하라. 그 사실들의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면 문제는 저절로 해결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위기를 모면한 갈렌 리치필드의 이야기는 스릴 넘친다.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장성이 회자의 자산을 청산하라는 명령에 몰래 빼돌린 유가증권이 들통나는데 리치필드는 위의 방법으로 위기를 모면하게 .. 데일 카네기의 자기관리론 2일차. 카네기는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 과거의 일은 과거에 묻어두고, 미래의 일은 미래에 맡기고 이제는 오늘에 충실하라고 이 책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허무맹랑한 걱정따위는 집어치우고 오늘에 충실한 삶을 살아가고자 하지만 눈 앞에 닥친 걱정스러운 상황은 어떻게 하란 말인가? 이에 대한 답을 1절 2항(항이라는 표현은 없지만 편의상 항이라 하자.)에서 에어컨, 냉난방기로 유명한 회사의 회장 윌리스 H. 캐리어의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캐리어는 젊었을 때 가스정화 장비를 설치하라는 임무를 부여 받았었고, 이는 새로운 시도였다. 이 시도는 보기 좋게 실패하였고, 그로 인해 캐리어는 큰 충격을 받고 밤잠을 못 이루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날 '걱정해 봐야 아무짝에도 소용없다.' 라는 생각이 떠올랐고, 문제.. 데일 카네기의 자기관리론 1일차.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고 했다. 나의 내적 또는 외적 성장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나 자신을 닦는 일이 아닐까. 이런 생각으로 데일 카네기의 자기관리론이라는 책을 집어들었다. 금전적인 이유와 책을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아 e-book으로 읽기 때문에 책을 집어 들었다는 표현보다 스마트폰 어플을 실행했다라는 표현이 더 옳은 표현이겠다. 차례를 보면 이 책은 9개 절(section)로 이루어져 있고 많은 부분을 걱정에 대해 다루는데 지면을 할애 하고 있는 듯하다. 지금은 그 중 첫번째 절에 대해 읽고 있고, 그 첫번째 절에 대해 내가 감명깊게 읽었던 부분을 발췌하고 배운 것을 기록하고자 한다. 이야기는 윌리엄 오슬러 경에 대한 소개로 시작된다. 이 사람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존스홉킨스 대학에 의과대학원을.. 이전 1 다음